![BMI 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.jpg)
BMI 연구소
최근 고령화로 인하여 뇌 관련 질병이 증가하는 반면, 치료하는 것이 매우 어려움. 따라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뇌 관련 연구를 위해서 BMI 연구소를 설립함. 궁극적으로는 현대인의 건강한 삶과 삶의 질적 향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립함. BMI개발은 생각만으로 외부 사물과 연결을 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임. 예를 들면, 신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생각만으로 의료보조기기인 로봇팔을 제어하거나 의사전달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의 경우, 음성의사소통이 가능한 장애재활 의료기기 개발. 이러한 기술은 차세대 바이오의료시장에 핵심적인 가치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음. 연구소 설립을 통해서 국내외 연구과제들을 수주하고, 뇌 연구 관련 우수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으로 함.
-
TEL 032-835-8257
![I-Nano Fab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.jpg)
I-Nano Fab센터
교내 반도체공정관련 장비를 한 곳에 집중적으로 구축함으로 인해서 효율적인 재원의 관리 및 양질의 반도체관련 기반 장비 인프라를 구축하고, 이를 통해서 인천대 내 국내/국외 단일연구 및 융합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며, 나아가 인천대 내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에게 반도체 공정 및 소자 관련 양질의 교육을 통해서 취업의 활성화를 주도하는 목적임.
-
TEL 032-835-9785
![건강증진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.jpg)
건강증진센터
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건강관리의 중요성과 운동기능 및 재활 그리고 생활체육 참여율 증대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생활체육 활성화를 통한 국민체력증진과 평생스포츠 활동에 기여하는 목적
-
TEL 032-835-8570
-
FAX 032-835-0788
![경영혁신원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.jpg)
경영혁신원
서비스업 및 제조업을 포함한 사기업과 공기업, 그리고 공공부문의 각종행정단위의 경영혁신에 필요한 제반이론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전파하여 산학협동을 촉구하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발전에 이바지함
-
TEL 032-835-8031
![과학영재교육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.jpg)
과학영재교육연구소
과학문화의 확산과 과학영재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하여 과학문화 확산사업 및 과학영재교육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체계적으로 연구
-
TEL 032-835-4978
-
FAX 032-835-4976
![교양교육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6.jpg)
교양교육연구소
교양교육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을 통하여 대학 교양교육의 발전에 기여
-
TEL 032-835-8175
![교육발전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7.jpg)
교육발전연구소
유ㆍ초ㆍ중등ㆍ고등교육의 현장 문제를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
-
TEL 032-835-8167
![글로벌융합디자인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8.jpg)
글로벌융합디자인연구소
글로벌융합디자인 연구 활동 등의 사업을 통해 국내외 디자인 학술 및 정보교류 그리고 디자인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국가산업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.
-
TEL 032-835-8552
![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9.jpg)
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
금융소비자보호에 관련된 전문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에 이론적으로 공헌하고 연구 활동을 통해 대학 대내외적으로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
-
TEL 032-835-8913
![기계로봇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0.jpg)
기계로봇연구소
로봇 공학 관련 전 분야의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고, 융합 기술 기계 관련 사업과 연구 활동을 통해 학교 구성과 지역사회,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
![노동과학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1.jpg)
노동과학연구소
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, 특히 노동문제를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연구
![데이터이노베이션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2.jpg)
데이터이노베이션연구소
체계적인 조사ㆍ연구 활동을 통하여 데이터 이노베이션 분야의 융·복합 연구와 교육, 사업 등의 수행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 전반의 혁신에 기여
![도시과학연구원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3.jpg)
도시과학연구원
도시에 관한 종합적 사고를 갖춘 핵심인력을 양성하고, 국제적 도시연구 및 관ㆍ산ㆍ학 협력 연구를 활성화
-
TEL 032-835-4752
-
FAX 032-777-8468
![물류경영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4.jpg)
물류경영연구소
인천시 물류거점 도시로 성장할 수 있기 위하여 인천대가 국제물류 및 운송의 연구개발, 교육훈련의 중심적 기능 수행
-
TEL 032-835-8181
![동북아수퍼그리드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5.jpg)
동북아수퍼그리드연구소
동북아 수퍼그리드와 관련된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에 이론적으로 공헌하고 관련 사업 활동을 통해 학교 구성과 지역사회, 국가정책에 기여
-
TEL 032-835-8769
![동아시아평화경제연구원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6.jpg)
동아시아평화경제연구원
본 연구소는 한국, 중국, 일본, 북한, 러시아 등 동북아 국가들의 경제, 시장, 에너지, 환경 등의 상호 의존성 및 관련성을 바탕으로, 다양한 협력 및 상생 방안을 연구하고, 다양한 현안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기 위해 설립됨.
-
TEL 032-835-8547
-
FAX 032-850-5660
-
LOCATION 인천대학교 14호관 513호
![디지털경제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7.jpg)
디지털경제연구소
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경제의 과제를 선도적으로 연구
-
TEL 032-835-8545, 8527
-
FAX 032-835-0786
-
LOCATION 송도캠퍼스 14호관 212호
![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8.jpg)
매개곤충자원융복합연구센터
기후변화로 인한 생태적 교란 및 전염성 질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곤충의 식량자원으로의 개발 수요 증대, 매개곤충의 정확한 자원화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매개곤충 관련 연구자 및 산업 전문인력 및 국제문제 대응 전문컨설턴트 부족 등이 대두되어 선진화된 바이오융합 연구인프라 구축 및 인류 보건에 향상 기여
-
TEL 032-835-4428
![모빌리티융합기술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19.jpg)
모빌리티융합기술연구소
차세대 모빌리티의 새로운 에너지원, 전자⋅기계 디바이스 개발을 통해 통합적 차세대 모빌리티 관련 사업과 연구 활동을 기반으로 학교 구성과 지역사회,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
![무한상상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0.jpg)
무한상상연구소
인천지역 학생, 교사 및 일반인들의 무한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 및 과학 문화 확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인천지역 내 과학 교육을 고도화하며 과학문화 확산 환경과 생태계를 구축
-
TEL 032-835-4913
-
LOCATION 제물포캠퍼스 성지관 3층
![미래교육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1.jpg)
미래교육센터
미래 교육 체제에 맞는 교원을 양성하고, 사범대학 예비교원의 원격교육 역량 및 미래교육 소양을 강화
-
TEL 032-835-8652
![바이오소재·공정개발 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2.jpg)
바이오소재·공정개발 연구소
바이오소재·공정개발 연구소는 국가 바이오산업을 선도하고 패러다임을 창출 하기 위한 바이오소재와 공정을 개발하고자 설립되었습니다. 바이오 클러스터이자 K-바이오 랩허브가 구축되는 인천 송도에서, 인천대학교가 바이오헬스 산업 핵심 동력인 소재와 공정 개발을 주도하여 산업 니즈 해결에 중추적 역할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 중점연구개발사업: 차세대 바이오신약, 헬스케어 소재 및 기기, 글로벌 팬더믹 대응기술
-
TEL 032-835-8299
![바이오의약품원보자재사용화지원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3.jpg)
바이오의약품원부자재상용화지원연구소
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개발(국산화) 지원부터 시험·인증, 실증평가 및 수요·공급기업 간 국산화 연계, GMP 교육·컨설팅 등 사업화 지원을 위한 전주기 상용화를 지원, 산학 연계를 통한 관련 분야 기초 및 실용 학문의 체계적인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함으로서 중소·중견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과 국가 전략산업 육성 기여, 미래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산업발전의 토대 구축
![법학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4.jpg)
법학연구소
법학전반에 관한 이론연구, 법제와 판례 및 사법제도 국내외 및 국제관계의 법제도와 사법제도 및 법학교육에 관한 연구
![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5.jpg)
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연구센터
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연구 능력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에 학문적으로 기여하고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관련 사업과 활동을 통해 학교 구성원과 지역사회, 국가에 기여
-
TEL 032-835-9935
![생물자원환경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6.jpg)
생물자원환경연구소
차세대 한국생물산업 및 환경보전을 위한 국내 고유생물자원의 보전 및 이용기술을 구축하고 고급연구인력을 양성하여 연구저변을 확대시킴 으로써 국가와 지역사회에 공헌
-
TEL 032-835-4250
![소방방재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7.jpg)
소방방재연구센터
화재와 관련된 재해, 재난을 체계적으로 분석, 규명하고 소방산업 및 재난예방산업의 기초연구를 함으로써 인적 및 물적재산 보호에 기여
-
TEL 032-835-4119
-
FAX 032-835-0779
-
LOCATION 공과대학 8호관 C동 341호
![소재계면공학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8.jpg)
소재계면공학연구소
나노 계면제어를 통한 박막 제조 공정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고, 차세대 반도체 관련 사업과 연구 활동을 통해 학교 구성과 지역사회,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
![스포츠기능장애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29.jpg)
스포츠기능장애연구소
만성질환자, 장애인 및 비장애인의 건강관리 및 증진 연구와 관련된 연구 활동을 통해 해당 분야에 학문적으로 기여하고 대학, 지역사회, 그리고 국가에 기여
![신양개발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0.jpg)
신약개발연구소
golbal 신약개발의 핵심인 질적으로 우수한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여 산업계에 제공하며, 제약산업 leader를 양성하여 인류의 건강과 삶의질적 향상을 시키는데 기여하고자함
-
TEL 032-835-8912
![아시아환경에너지연구원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1.jpg)
아시아환경에너지연구원
아시아 국가의 환경문제 관리 및 대안, 기후변화대응 등을 위하여 환경부문의 교수, 정책인, 환경기술인 등 환경전문가들의 네트워크 구축
-
TEL 032-835-8468, 4689
-
FAX 032-777-8468
![에너지엑셀런스 및 스마트시티 연구센터(ES Lab)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2.jpg)
에너지엑셀런스 및 스마트시티 연구센터(ES Lab)
본 랩은 에너지와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통해 대학과 지역사회에 에너지 효율적인 스마트시티를 구축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함.
-
TEL 032-835-8603
![에너지환경보건안전연구원(EEHS)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3.jpg)
에너지환경보건안전연구원(EEHS)
산업재해 및 환경오염에 대한 원인규명에서 종합대책에 이르는 전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, 규명, 처리할 수 있는 방안 및 연구에 중점을 두어 경제,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함
-
TEL 032-835-4515
-
FAX 032-835-0779
-
LOCATION 공과대학 8호관 C동 331호
![원자력안전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4.jpg)
원자력안전연구소
원자력 안전 공학 관련 전 분야의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고, 융합 기술 기계 관련 사업과 연구 활동을 통해 학교 구성과 지역사회,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
![융합예술영재교육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5.jpg)
융합예술영재교육연구소
미래사회 핵심 역량을 갖추고 지역사회 문화예술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융합예술 분야 인재 양성의 모범사례로 정립하고자 하며, 미래 예술 영재교육을 위한 전문·특성화된 교육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여 실기와 이론적 소양을 모두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자 한다. 예술, 언어, 문화, 바이오,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공유하고 전할 뿐만 아니라 타 분야 전문가들과의 융합적 협력 활동을 강화하여 교육목표를 실현하고자 한다. 지역사회의 문화, 장르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문화예술의 뛰어난 인재들에게 높은 자아실현 성취의 기회를 제공하고 창의적 인적 자원의 발굴과 육성을 통한 재능의 사회적 기여를 목적으로 한다.
-
TEL 032-835-8554
-
LOCATION 인천대학교 27호관 218호
![인간 유전체 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6.jpg)
인간 유전체 연구센터
일반 시민들의 유전정보를 수집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게놈 산업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설치 및 운영하는 센터
-
TEL 032-835-4968
![인천대학교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7.jpg)
인간중심 인공지능 연구센터
인간을 이해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우리 대학의 연구력을 향상시키는 한편, 인간다움을 존중하는 인공지능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하여 고급인재 양성
-
TEL 032-835-8496
![인공지능금융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8.jpg)
인공지능금융연구소
인공지능 및 금융 분야 전문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실증적인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우리나라 금융 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재 양성할 뿐만 아니라, 핀테크 분야 창업을 통해 송도를 인천의 맨해튼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, 인천대학교가 국가와 지역의 금융산업을 주도하여 세계적 수준의 대학으로 성장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함
-
TEL 032-935-9326
![인지행동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39.jpg)
인지행동연구센터
본 연구센터의 설립은 학제간 융합 연구가 필요한 인지행동 연구를 위해 인지과학 및 행동과학과 관련된 전문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융합 연구를 실질적으로 수행하기 위함
-
TEL 032-835-8867
![인천공공성플랫폼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0.jpg)
인천공공성플랫폼
대학의 인적, 지적 기반과 지식정보 바탕으로 지역사회와의 플랫폼 구축을 통한 공공성 발전 기여
-
TEL 032-835-8867
![인천방재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1.jpg)
인천방재연구센터
방재 및 방재안전관리분야의 연구와 기술개발 및 방재산업 육성, 교육훈련, 법제도개선에 관한 연구를 통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기반시설의 안정성과 사용의 편리성 확보하는데 공헌함
-
TEL 032-835-4754
![일본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2.jpg)
일본연구소
'일본'에 대한 학제간 공동연구를 통해 일본을 매개로 한 동북아 지역 문제들을 고찰하고 일본학 연구 역량을 국제화함으로써, 일본학 교육 역량의 심화 및 지역 전문가를 육성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거점연구소 마련과 육성을 위해 설립됨.
-
TEL 032-835-4253
-
LOCATION 인문대학 316호
![재난안전공공디자인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3.jpg)
재난안전공공디자인연구소
4차 산업혁명 기술 트렌드에 기반한 ICT/AI 융합형 재난·공공·안전 전문분야의 과제를 선도적으로 연구하는 통합 전문기관으로서, 안전한 환경 확보 및 안전디자인 문화 확산을 목적으로 함.
-
TEL 032-835-8552
![조형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4.jpg)
조형연구소
인천의 도시환경조형물(미술설치작품)에 대한 연구 사업과 도시환경의 미적 문화 수준을 선진화
-
TEL 032-835-8936
![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5.jpg)
중국 · 화교문화연구소
중국 및 화교에 대한 인문.사회 분야의 제반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고 국내외 학술교류를 촉진하며 연구성과를 사회적으로 확산
-
TEL 032-835-9721
![중국학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6.jpg)
중국연구소
중국의 정치, 경제, 법률, 역사 등 중국에 대한 다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중국학을 정립하고, 인천의 지정학적·역사적 이점을 살려 지역특성화에 기여
-
TEL 032-835-8711
![지능형센서융합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7.jpg)
지능형센서융합연구센터
유비쿼터스 사회의 기반인 지능형 센서 융합기술개발 및 기발 조성과 관련 전문 인력을 배출하여 인천u-시티 구축 및 국가발전에 기여
-
TEL 032-835-4596
-
LOCATION 자연과학대학 223호
![지역동행 플랫폼 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8.jpg)
지역동행 플랫폼 연구소
대학과 지역의 공동발전을 위하여 대학의 전문역량을 지역에 기여함으로써 지역과 동행ㆍ발전하는 지역거점 국립대학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여 대학발전에 기여
-
TEL 032-835-9333
![지역문화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49.jpg)
지역문화연구소
지역문화 연구를 통해 인천대학교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
-
TEL 032-835-8102
![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0.jpg)
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
지역학 및 지역인문정보와 관련된 연구 활동을 통해 대학과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(이하“연구소”라 한다)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.
-
TEL 032-835-4376
-
LOCATION 미추홀캠퍼스 미래관 105호
![지역혁신 트라이버시티 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1.jpg)
지역혁신 트라이버시티 연구소
트라이버시티(Triversity)는 새로운 평생교육 모델을 연구하고 교육을 제공하고자 출범하였습니다. 특히, 기존의 평생교육원과 달리 지역의 인구구조, 산업 동태적 특성과 수요를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온/오프라인 커리큐럼 학습 등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지역 인재양성 및 지역 혁신에 기여하고자 합니다.
-
TEL 032-835-9098
-
FAX 032-835-4907
-
LOCATION 제물포캠퍼스 성지관
![차세대에너지융합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2.jpg)
차세대에너지융합연구소
-
TEL 032-835-8770
![첨단소프트웨어연구센터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3.jpg)
첨단소프트웨어연구센터
소프트웨어핵심기술을 중점 연구, 개발하고 산업체에 필요한 s/w전문인력을 육성하여 테크노파크와 미디어밸리 등을 지원하여 정보통신의 중심도시로 발전시키고 지역의 정보인프라 구축에 기여함
![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연구소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4.jpg)
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연구소
기존 비분해성 플라스틱 대체 물질 관련 원료·가공, 부품·제품의 생분해·성능평가·실증평가 및 단체표준 개발 등 산업 전주기를 지원하고, 산학 연계를 통한 관련 분야 기초 및 실용 학문의 체계적인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함으로서 중소·중견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과 국가 전략산업 육성에 기여하여, 미래 바이오플라스틱 산업발전의 토대 구축을 목적으로 함
![코퍼스 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5.jpg)
코퍼스 연구소
코퍼스에 관련된 연구능력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에 이론적으로 공헌하고 연구 활동을 통해 인천대학교와 지역사회에 기여
-
TEL 032-835-8129
-
FAX 032-835-0754
-
LOCATION 인문대학(15호관) 423호
![탄소중립 국제에너지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6.jpg)
탄소중립 국제에너지연구소
탄소중립에 필요한 친환경 에너지 및 탄소저감 분야 연구를 국제적 협력 연구를 통해 수행하여 미래 탄소중립 사회로의 부드러운 전환에 기여
![퓨처모빌리티 연구센터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7.jpg)
퓨쳐모빌리티 연구센터
미래의 운송 수단으로서 전기자동차, 자율주행자동차 및 신개념 교통수단으로서의 UAM (Urban Air Mobility)를 포함한 PAV(Personal Air Vehicle)의 전기구동 및 자율주행에 관련된 기술개발 및 이전, 전문인력을 배출하여 학교 구성과 지역사회,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
![해양교육문화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8.jpg)
해양교육문화연구소
해양교육 및 해양문화 활성화와 관련된 연구 활동을 통해 대학과 지역사회에 기여
-
TEL 032-835-8102
![화공혁신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59.jpg)
화공혁신연구소
미래사회는 지금까지의 변화보다 더 급속하고 거대한 변화로 이들의 요구에 응답할수 있는 새로운 화학공학관련 소재 및 공정에 대한 개발 및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. 따라서 본 연구소는 화학공학 관련 소재 및 공정 핵심기술을 토대로 에너지, 탄소중립,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한 융합적 지식을 생산 및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. 연구소 내외부의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고 산학 프로젝트를 통하여 고급인재를 양성한다.
-
TEL 032-835-8670
![환경융합기술연구원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60.jpg)
환경융합기술연구원
환경·기후 분야에서 국내 및 아시아권 국가들 간의 지속적 공동성장을 위하여 학계 및 산업계의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, 장거리(격지 간) 공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성과 공유를 통한 공동 연구 개발 및 개발 기술의 산업계 적용
-
TEL 032-835-4689
![황해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61.jpg)
황해연구소
황해 환경 관련 다양한 분야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하여 인천대학교, 지역사회 및 동아시아 해양과학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. 국내 및 국제 유일 황해 대상 해양환경 연구 플랫폼을 구축한 연구소로 발전하기 위하여, 인천을 중심으로 한 연구기반 및 연구원 확충 통한 황해 환경 특화 연구 플랫폼을 구축하고, 학연산 협력체계 구축, 환경모니터링 및 해양 유래 소재 기술 개발을 추진하며, 국제적 연구 거점으로의 확장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비 확충 및 안정된 운영을 추진함
-
TEL 032-835-8859
-
FAX 032-835-0806
-
LOCATION 9호관 214호
![훔볼트연구소 관련사진](/sites/inu/images/sub/img-etc62.jpg)
훔볼트연구소
빌헬름 폰 훔볼트와 알렉산더 폰 훔볼트 형제의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 학문적 정신을 이어받아 학문과 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, 인문학과 융합연구의 제 분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, 독일의 언어, 문학, 문화, 역사 등 인문학 및 사회, 자연과학 등 제 분야에 관한 주제들을 연구하여 독일학 연구 일반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.
-
TEL 032-835-8130